주피터 코인, Solana 생태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나요?

주피터 코인, JUP, 정식 명칭은 Jupiter입니다.
Solana 생태계에서 탈중앙화 거래소(DEX)들의 네비게이션 시스템 역할을 하는 플랫폼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솔라나 네트워크에는 다양한 DEX들이 존재하는데,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디에서 어떤 가격으로 거래해야 가장 이득일까?”가 늘 고민이 됩니다.
Jupiter는 이러한 질문에 대해 최적의 경로를 계산하고 연결해주는 중개인 역할을 수행합니다.
단순히 스왑 기능에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런치패드와 거버넌스 시스템까지 포함한 DeFi 올인원 플랫폼을 지향하고 있는 점이 특징입니다.
💡 JUP 코인에 투자하기 전 알아야 할 5가지
JUP 코인에 투자를 고려중이시라면, JUP 주요 기능과 생태계 구조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 토큰 스왑 기능
Jupiter의 스왑 기능은 DEX들 간의 가격을 비교하고, 최적의 조건을 찾아주는 기능입니다.
예를 들어 Raydium, Orca, Phoenix 등 다양한 거래소 중 어디서 거래하면 가장 유리할지를 실시간으로 판단해주죠.
이 기능은 흔히 Aggregator(애그리게이터)라고 불리며, 하나의 플랫폼과 같다고 생각하시면 이해가 쉬우실 겁니다.
항공권 비교 사이트인 Skyscanner와 유사한 역할을 한다고 이해하시면 좋습니다.
🧬 LFG 런치패드
신규 프로젝트들이 첫 선을 보이는 무대가 바로 Jupiter의 런치패드인 LFG (Launch For Good)입니다.
커뮤니티 중심으로 유망한 프로젝트를 선별하고,
이들이 자신의 토큰을 소개하면서 사용자는 초기 매수 기회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다만 최근에는 LFG의 활성도가 낮아지면서 “제대로 작동하고 있는 것일까?”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습니다.
💰 ASR 시스템 (Automated Smart Redistribution)
ASR 시스템은 Jupiter가 수익 중 일부를 보상 풀에 자동으로 적립하고,
이를 지속적으로 생태계에 기여한 사용자들에게 분배하는 구조입니다.
예를 들어 스테이킹을 오래 하거나 DAO 투표에 자주 참여한 사용자일수록
더 많은 리워드를 받을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죠.
하지만 이 시스템은 아직 완전하게 구축되지 않았다는 평가도 있으며,
사용자 친화성 측면에서 보완이 필요한 단계입니다.
🗳️ DAO 거버넌스 투표
JUP 보유자는 DAO 투표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생태계 수수료율, 토큰 분배, ASR 구조, 런치패드 운영 방향 등등
다양한 의사결정이 DAO 투표를 통해 결정되지요.
이걸 통해 탈중앙화 철학을 지키려는 구조인데,
문제는 “투표 내용이 실질적이지 않고, 이벤트성에 그친다”는 비판이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로고 바꿀까요?”, “배경 이미지 어때요?” 수준의 안건이 많다며 불만이 제기된 바 있었습니다.
다만, 최근에는 이러한 여론이 형성되어, 이벤트성 안건만 많다는 비판도 일부 커뮤니티에서 제기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Jupiter는
Solana 기반의 DEX 네비게이터 + DeFi 런치패드 + DAO 거버넌스 + 스마트 리워드 시스템을
하나로 통합한 종합 플랫폼입니다.
그러나 이 중 몇몇 기능은 설계 의도만큼 잘 작동하지 않는다는 피드백도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다음 글에서는 Jupiter 코인의 실제적인 문제점, 리스크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