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RWA 뜻? ($INX 70% 배당의 진실)

RWA란? 그리고 눈여겨봐야 할 $INX 코인

RWA(Real World Asset), 즉 실물자산 토큰화는 부동산, 주식, 채권처럼 전통 금융 자산을
블록체인 기반 토큰으로 전환하는 개념이에요.
쉽게 말해 “실제 가치를 지닌 자산을 디지털화해서 더 쉽게 사고팔 수 있게 만든 것”이죠.

최근 이 RWA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프로젝트 중 하나가 바로 $INX입니다.
이건 그냥 코인이 아니고, 미국 SEC에 등록된 증권형 토큰이에요.
특히 $INX는 지금 미국의 대형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 Republic에 인수되는 중이고,
이 인수가 완료되면 $INX 보유자에게 약 70% 수익률의 1회성 특별 배당이 USDC로 지급됩니다.

단순 “코인 펌핑”이 아니라, 법적 계약과 회사의 자본금에서 나오는 실제 배당이라는 점이 핵심.
RWA가 ‘그럴듯한 개념’에 그쳤던 시절은 끝났고, 이제 현금이 흐르는 구조로 진화 중이에요.
$INX는 그 변화를 직접 체감할 수 있는 대표 사례로, 관심 가져볼 만한 RWA입니다.

$INX 배당율 70%, 과연 믿을 수 있나?

요즘 코인판에선 뭐만 수익률 높다 하면 “스캠이네” “잡알트네” 소리부터 튀어나오는데요.
INX 토큰 배당율 이슈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배당 수익률이 70%라는 숫자만 보고, “말도 안된다”, “TVL 0인데 이걸 산다고?”라는 얘기가 나오는 걸 보면,
아직 많은 이들이 RWA(Real World Asset)를 ‘코인’의 연장선으로만 보고 있다고 느껴요.

하지만 INX는 우리가 익숙한 코인들이랑 태생 자체가 다릅니다.


$INX 는 코인이 아니다?
‘주식’을 블록체인으로 옮긴 것!

먼저 구조부터 짚고 가볼까요?….

  • INX는 SEC에 등록된 ‘기업’의 주식 우선주를 블록체인 기반 토큰으로 만든 것
  • ‘INX 토큰’은 말 그대로 그 회사의 지분 증권이고, 주식 배당 구조를 따른다
  • 현재 Republic이라는 또 다른 대형 펀딩 플랫폼이 INX를 약 $60M에 인수 계약 체결한 상태

이 인수가 마무리되면, INX는 계약에 따라
준비금 $34.3M USD (미국 달러) 를 INX 토큰 보유자에게
스테이블코인 USDC 로 1회성 배당을 분배해야 합니다. 이게 주식이 아니면 뭐죠? ㅋㅋㅋㅋㅋㅋㅋㅋㅋ

여기서 나오는 배당이 토큰당 약 $0.248
현재 시세가 $0.34 수준이니, 수익률이 70% 이상으로 보이는 구조가 생긴 거죠.


“TVL 없는데 배당?” → 구조를 완전히 오해한 반응

TVL(예치금 총액)은 DeFi나 크립토 네이티브 프로젝트의 건강성을 보는 지표지,
토큰화 주식(RWA 기반 증권형 토큰)에는 적용 자체가 안 되는 개념이에요.

TVL 얘기를 들이밀며 INX를 “스캠”이라 하는 건,
카카오뱅크 보고 왜 TVL 없냐고 묻는 거랑 똑같은 소리죠.

  • INX는 DeFi도 아니고, 스테이킹 보상도 없는,
  • 현금배당 기반의 STO(Security Token Offering) 구조고,
  • 그 배당은 회사 설립 당시부터 준비된 정식 자본금에서 나오는 것입니다..

즉, “TVL이 낮으니 잡알트다”라는 말은 애초에 기준 설정의 오류인거죠..


배당이 70%? 너무 높은 거 아냐?

이 반응도 이해는 됩니다. 근데 이건 연간 배당이 아니라, 1회성 특별배당이에요.

  • 이 배당은 이익잉여금 배분이 아닌, 인수 조건에 따라 배당 준비금에서 나오는 것
  • 회사 설립 초기부터 인수 트리거에 따라 반드시 배분하도록 설정된 고정 자본금
  • 이걸 SEC에 제출한 공식 서류로 규정했고,
    실제로 인수 계약도 서명 완료 + S-1 제출 상태

즉, 이건 “믿고 안 사고”의 문제가 아니라
법적 계약 이행에 따라 ‘나올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겁니다.


INX는 크립토가 아니라 ‘RWA의 현실적 사례’

이게 진짜 중요해요. 많은 코인 유저들이 간과하는 부분인데…

이런 것도 있구나…. 하고 새로운 세상에 눈을 뜬다는 것 그 자체가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INX는 블록체인 기반의 자산이지만, 그 본질은 전통 자산과 맞닿아 있습니다.
왜냐하면 아래의 4가지 요건에 충족되기 때문이죠.

  • SEC 등록
  • SPAC 통한 인수
  • 배당 계약
  • 현금 기반 준비금

이런 단어와 개념들이 익숙하지 않다면, 오히려 더 공부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생각합니다.


코인판의 다음 먹거리는 결국 RWA?

20212024 년도의 AI-코인,
그 다음 흐름은 아마 제도권+실물 연동 자산, 즉 RWA일 확률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왜냐면요,

  • 기관 진입에 가장 적합한 구조
  • 법적 문제로부터 가장 자유로운 영역
  • 블록체인이 기존 자산시장과 맞붙을 수 있는 유일한 접점

그걸 지금 INX가 시도 중이고, 그 결과로 “70% 배당 수익률”이 나왔다는 사실은 (좀 못 미덥긴 하지만…)
그 자체로 RWA 시장의 가능성을 상징하니까요.


결론

INX는 “좋다 나쁘다”를 논하기 전에
코인이냐 주식이냐부터 먼저 정리하고 접근해야 할 자산입니다.

그걸 모르고 TVL이 없네, 락업이 없네, 이자율이 70%면 사기네 하는 건
그냥 다른 스포츠 경기장 규칙 들고와서 룰 어겼다고 하는 꼴이죠.

제가 내리는 결론은 간단해요.

RWA는 결국 현금이 흐르는 구조에서만 진짜다,
INX는 지금 그걸 증명하려는 첫 케이스고,
우리가 해야 할 건 “믿거나 말거나”가 아니라,
이걸 통해 시장이 어디로 진화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라고요.

Leave a Reply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